가주 '뒷마당 별채(ADU)' 주택난 해소 실효성 논란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가주 '뒷마당 별채(ADU)' 주택난 해소 실효성 논란

웹마스터


지난해 신규 주택 5분의 1 차지

오너, 시장 안 내놓고 직접 사용

 

‘뒷마당 별채(ADU)’ 건축이 증가함에도 캘리포니아의 심각한 주택난 해소에는 별 도움이 안 될 수 있다는 실효성 논란이 불거졌다. LA타임스가 주 재무부 자료를 분석해 12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주 전역의 주택재고는 전년 대비 0.84% 증가한 12만5000채에 그쳤으며, 그중 약 5분의 1이 ADU였다. 그러나, 소유주들에 따라 ADU를 임대하지 않고 가족 거주용이나 비워두는 경우도 많아, 실제 주택난 해소 효과에 의문이 제기된다.


가주 퍼블릭폴리시연구소(PPIC)의 에릭 맥기 선임연구원은 “신규 ADU가 기존 거주자를 단순히 공간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거주자를 유입시키는 것인지 파악하기 어렵다”며 “단순히 건설량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수요 충족이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샌디에이고 정부연합(SANDAG) 조사에 따르면, 해당 카운티에서 허가된 ADU의 85%는 임대용으로 사용됐으며, 15%는 소유주 거주였다. 하지만 지역별 편차가 커, ADU 확산이 곧바로 공급 확대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ADU 건축은 전년 대비 14.3% 증가해 2023년(10% 증가)보다 성장세가 가팔랐다. 특히 LA시는 2020~2025년 사이 주택 재고를 6% 늘려 카운티 내 88개 도시 중 세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ADU 허가 건수는 LA카운티가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샌퍼낸도, 로즈미드, 템플시티, 시에라마드레, 히든힐스 등 중·저소득 지역에서 활발했다. 


UCLA 루이스센터의 마일스 오스틴 크레시는 "ADU 임대가 저소득층, 젊은 인구와 비백인 거주자, 민주당 지지자가 많은 지역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며 "대체로 시세와 같거나 그 이상으로 임대돼, 대량 공급이 가능한 주택 해법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