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7일] 상호관세 발효 첫날 혼조세 마감
나스닥지수 0.35% 올라
7일 뉴욕증시는 보합권에서 마감했다.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224.48포인트(-0.51%) 내린 4만3968.64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5.06포인트(-0.08%) 내린 6340, 나스닥지수는 73.27포인트(0.35%) 오른 2만1242.70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부터 상호관세가 발효됐음에도 불구하고 뉴욕증시는 강세로 출발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품목 관세에 대한 면제 사항을 언급한 게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만약 미국에 (반도체 제조공장을) 건설한다면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개장 전 발표된 주간 실업청구 지표가 여전히 양호한 수준에 머문 것도 고용 사정이 급속도로 나빠지는 것 아니냐는 앞선 우려를 덜게 했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일로 끝난 한 주 동안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는 계절 조정 기준 22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직전주 대비 7000건 증가한 수치다. 시장 예상치는 22만1000명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새 이사에 '트럼프 책사'로 꼽히는 스티븐 미란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을 지명했다. 투자자들은 매파(통화긴축 선호) 성향인 아드리아나 쿠글러 전 연준 이사가 이사직에서 물러나면서 9월 통화정책회의에서 연준이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란 기대를 높여왔다.
애플은 향후 4년간 국내에 1000억달러 규모의 추가 투자를 할 계획이라고 전날 밝히면서 이날 3.18% 상승했다.
제약사 일라이 릴리는 비만치료제의 후기 단계 임상시험 결과가 투자자들에 실망감을 안기면서 이날 14.14% 급락했다. 일라이 릴리의 급락은 이날 다우지수 하락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세일즈포스 주가도 3% 넘게 떨어지며 투자심리에 압박을 줬다. 해커들이 세일즈포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침투하면서 고객 데이터가 도난당했다고 구글이 발표한 여파다.
김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