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방문, 재정보조 여부 미리 조사하면 도움"
10학년, 대학입시 준비의 핵심 시기
대부분의 부모는 9학년이 고등학교에 적응하는 기간이라는 것을 안다. 9학년이 된 자녀는 고등학교 학업에 적응하고, 다양한 과외활동을 탐험하며, 사회적 관계를 만드느라 바쁠 것이다. 11~12학년이 되면 대학입시 절차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것이다. 그렇다면 10학년은 어떨까? 10학년 학생은 대학입시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고 부모는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부모의 역할: 입시동향 파악과 재정 준비
부모가 대학에 지원하던 때는 지금으로부터 꽤 오래전이다. 최근 수년간 대학 지원 절차는 많이 바뀌었다. 대학 진학은 자녀 스스로 준비하지만 부모도 입시 동향을 파악해서 자녀를 도울 수 있다. 재정보조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봐야 현실적인 대비를 할 수 있다. 재정보조를 필요로 하는지, 대학의 보조를 받을 자격이 되는지 등을 조사한다면 비용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캠퍼스 방문의 최적 시기
대학 캠퍼스 방문을 최대한 미룰 이유는 없다. 11학년은 가장 바쁜 시기이기 때문에 대학 방문 일정을 조율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집에서 가까운 대학들의 리스트를 작성해보라. 집에서 몇 시간 거리에 있는 대학들은 당일치기로 방문하기 쉽다.
자녀가 이들 대학에 특별히 관심이 없더라도, 캠퍼스 분위기와 학생 클럽, 기숙사 등의 요소들을 고려해서 방문한다면 호불호를 파악할 수 있다. 앞으로도 캠퍼스를 방문할 때 무엇을 살펴봐야 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자녀와의 대화 전략
이 단계에서 자녀가 대학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대학이 아직 먼 현실처럼 느껴질 때 더욱 그렇다. 입시와 직접 관련된 질문을 하는 대신 궁극적으로 대학 선택의 과정을 이끄는데 도움이 되는 요소들에 집중하라. 자녀가 가장 좋아하는 과목과 과외활동에 대해 물어보라. 자녀가 그런 활동에서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꿈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집중하라.
이런 대화는 자녀에게 통찰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로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김수현 교육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