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독점' 도전받는 검색에 AI 기능 총집결

구글 연례 개발자회의가 20일 북가주 마운틴뷰에서 개막했다. /AP
북가주서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음성 등으로 검색하는 'AI모드' 공개
구글이 검색에 AI 기능을 대폭 접목하고 나섰다.
챗GPT 등 AI 챗봇이 큰 인기를 끌면서 전 세계 약 90%를 차지하는 구글의 검색 시장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글은 또 삼성전자와 확장현실(XR) 헤드셋을 개발 중인데 이어 스마트 안경까지 협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구글은 20일 북가주 마운틴뷰에서 연례 개발자회의(I/O)를 열고 생성형 AI를 대거 접목한 새로운 검색 기능 등을 발표했다. 구글은 검색 내용을 AI가 요약해주는 방식의 지난해 도입한 'AI 오버뷰'를 'AI 모드'(AI Mode)라는 이름으로 대폭 확대했다. 'AI 모드'는 구글의 최신 AI 모델인 제미나이 2.5의 맞춤형 버전을 도입해 새롭게 탈바꿈한 검색 기능이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는 기조연설을 통해 "AI 모드는 검색과 분석·요약·결과 제공까지 AI가 처리해 주는, '엔드-투-엔드' AI 기반 검색 경험을 원하는 사용자들을 위한 완전히 새로운 검색 기능"이라며 "정보에서 지능으로 나아가는 검색의 미래"라고 말했다.
'AI 모드'는 텍스트 요약과 이미지 분석, 영상 이해 등 기존 텍스트 입력 외에 음성과 영상 등의 멀티모달 기능이 결합됐다. 이용자는 검색어 입력뿐만 아니라 문장 입력과 후속 질문 등을 통해 AI 챗봇과 대화하듯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스마트폰 카메라 기반의 실시간 검색 기능인 '서치 라이브'도 통합돼 이용자가 작업 중 궁금한 내용을 카메라로 보여주면 AI가 이를 보고 적절한 정보를 즉시 제공하거나 음성으로 설명해준다.
일반적인 키워드 기반 검색을 넘어 AI가 사용자의 질문을 이해하고, 웹상 방대한 정보를 자율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해 종합적인 보고서나 심층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딥 서치' 기능도 접목됐다.
복잡한 데이터 세트를 분석하고, 질문에 맞게 맞춤 제작된 그래픽도 생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