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반기에 22억달러 지원금 끊은 트럼프
명문대 겨냥 '문화전쟁'에 반발
대학 측 "정부와 협상 안한다"
트럼프, 면세지위 박탈 위협도
미국 명문대의 상징인 하버드대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문화 전쟁'의 한복판에서 정면 충돌했다.
하버드대가 연방 지원금의 돈줄을 앞세운 '정책변경 압박'에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자 트럼프 행정부는 실제로 천문학적 금액을 동결하며 반격에 나섰다.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14일 교내 커뮤니티에 보내는 글에서 "우리 대학은 독립성이나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놓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즉각 대응에 나섰다. 정부 내 '반유대주의 근절을 위한 합동 태스크포스(TF)'는 몇 시간 만에 성명을 내고 하버드대에 수 년간 22억달러 규모의 보조금과 6000만달러 규모의 계약을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TF는 "하버드대의 오늘 성명은 최고 명문 대학에 만연한 문제적인 권리 의식, 즉 연방 정부 투자에는 시민권법을 준수할 책임이 따르지 않는다는 생각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버드대는 지난해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학생들을 주축으로 한 가자지구 전쟁 반대 시위 이후 백악관의 공격 대상이 된 명문대 가운데 하나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월 TF를 구성하고 하버드대와 컬럼비아대 등 '반유대주의 사건'이 발생한 10개 대학 캠퍼스를 방문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하버드대에 대해서는 최대 90억달러 규모의 연방 기금 지급 및 계약 여부를 재검토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재정 관계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9가지 조치 실행'을 요구했다. 여기에는 다양성·평등·포용(DEI) 프로그램 폐지, 입학 규정 변경, 이념적 견해를 이유로 특정 학생, 교수진 '세력' 채용 및 억제 등이 포함됐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15일 연방정부의 교내 정책 변경 요구를 거부한 하버드대에 대해 '면세 지위'를 박탈할 수 있다고 위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면세 지위는 전적으로 공공의 이익에 따른 행동에 달렸다는 점을 기억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