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주 스티로폼 금지령 시행… 업주들 "우리만 피해"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가주 스티로폼 금지령 시행… 업주들 "우리만 피해"

웹마스터

가주정부가 식당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스티로폼 용기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Youtube


지난해 재활용률 25% 미달 

"비즈니스 타격" 식당들 볼멘 소리

주정부, 위반시 벌금여부 공개 안해


캘리포니아주에서 스티로폼 사용 금지령이 본격적으로 시행에 들어갔다.

가주자원재활용회복국 '캘리사이클(CalRecycle)'은 지난 4일 스티로폼으로 알려진 발포 폴리스티렌(EPS) 식품용기의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조치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2022년 제정된 플라스틱 오염 방지 법안(SB 54)의 일환으로 플라스틱 업계가 지난해까지 스티로폼의 25% 재활용률을 달성하지 못한데 따른 결과이다.

이에 따라 EPS 제조업체들은 1회용 테이크아웃 용기, 컵 등 EPS 식음료 용품을 주내에서 판매, 유통하거나 수입하는 것이 전면 금지된다. 해당 금지령은 지난 1월부터 공식적으로 시행됐으나, 개빈 뉴섬 주지사와 캘리사이클의 모호한 시행정책 때문에 많은 가주 기업들이 여전히 스티로폼 식품 용기를 사용해왔다. 

그러나 캘리사이클은 최근 성명을 통해 해당 기간을 종료하며, 금지조치는 즉시 효력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다만, 당국은 구체적인 단속 절차나 위반시 처벌에 관한 세부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LA에 있는 한식당 '한음'과 '다솜' 대표인 강원석 셰프는 6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현재 종이제품은 종류가 다양하지 않으며, 음식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만큼 두꺼운 제품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많은 업소들이 어쩔 수 없이 플라스틱 제품을 대체재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강 셰프는 “스티로폼 금지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곳은 업소들”이라며 “가주는 환경 보호를 내세우고 있지만, 정작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은 고려되지 않는 듯하다”고 털어놨다. 이어 “메뉴 가격 인상은 불가능한 상황에서 원재료 비용은 계속 상승하고, 업주들은 점점 더 힘든 처지에 놓여 있다”며 “일부 업주들은 ‘장사를 그만두라는 말이냐’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058bf14e362234638ca9743f5a056ef9_1744041466_5737.jpg
 

보이지 않는 추가 비용이 늘어나면서 결국 남는 것이 줄어드는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강 셰프는 “플라스틱 식품 용기의 가격은 스티로폼보다 약 3배 정도 높기 때문에 일부 업소에서는 투고 용기에 1달러 또는 1.50달러를 추가로 부과하는 경우가 많다”며 “그러나 직접적인 단속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어 많은 업소들이 여전히 스티로폼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식품용기류를 납품하는 '드림 팩토리 서플라이'의 박성현 대표는 "스티로폼 제품은 한 박스(200개 기준)에 23달러로 판매되며, 이는 플라스틱 제품(150개 기준)의 30달러 또는 사탕수수를 원료로 한 종이제품(150개 기준) 33달러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스티로폼을 제조하는 공장들이 더 이상 생산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고객들이 남아 있는 재고를 찾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폴리스티렌 폼은 전국적으로 약 1%만 재활용되며, 종종 해변 정화 활동에서 가장 많이 수거되는 품목 중 하나로 꼽힌다. 이런 제품은 수로와 자연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스티로폼 컵과 테이크아웃 용기에서 식음료를 통해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 배출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우미정 기자 la@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