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광의 행복칼럼] 행복선진국을 위한 대통령 선출!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강태광의 행복칼럼] 행복선진국을 위한 대통령 선출!

웹마스터

b3ce725f68f149d92ec7f899a4766479_1626292787_3095.jpg
 


3월 20일은 유엔이 정한 세계 행복의 날이다. 매년 세계행복의 날에 유엔은 '세계 행복보고서'를 발표한다. 이 보고서는 매해 국내총생산(GDP), 기대수명, 사회적 지지, 자유, 부정부패, 관용 등을 조사해서 행복지수 순위를 발표한다. 2021년에 한국은 62위다. 초라하고 부끄러운 성적표다. 

   

그런데 성적보다 더 심각한 것은 처음 순위가 발표된 2013년 이후 꾸준히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는 사실이다. 첫해인 2013년에 41위가 최고 순위다. 47위(2015년), 58위(2016년), 61위(2020년)로 계속 하락중이다. 행복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는데 행복지수는 낮아졌다.

   

한국의 경제 수준은 세계 10위권 내외다. 국토, 지정학적 위치, 인구 등 국가 경제의 힘이 되는 요소들을 고려할 때 엄청난 성적이다. 그런데 우리의 행복지수는 형편없다. 우리들의 행복을 가로막는 것들이 무엇일까? 한국 사회에 행복을 가로막고 있는 행복 장애물들이 있다. 우리들의 행복을 가로막는 몇 가지 지수들을 살펴보자.

   

우선 갈등지수가 높다. 한국의 갈등지수는 위험수위다. 갈등하는 만큼 불행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사회통합지수 개발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사회통합지수가 턱없이 낮았다. 한국사회에 갈등은 그야말로 해 묶은 갈등이다. 해묵은 갈등이 사회 통합을 가로막고 국력을 낭비하게 한다. 나아가 한국 사회 갈등이 우리 행복을 대대로 가로막고 있다. 갈등을 해소할 지도자가 필요한 시대다. 둘째, 기부지수가 낮다. 국제 자선단체인 영국자선지원재단(CAF)은 매년 ‘세계기부지수(World Giving Index)’를 발표한다. 이 발표에 따르면 대한민국 기부지수는 조사 대상국 146국 중 60위 내외다. 이 통계는 각국의 천명을 인터뷰해 1년 동안 낯선 사람을 도와준 경험, 기부 경험, 자원봉사시간 등에 대한 종합적 평가다. 낮은 기부지수는 낮은 행복을 말한다. 셋째, 신뢰지수가 낮다. OECD가 발표하는 “한눈에 보는 사회상(Society at a Glance)”보고서를 보면, 한국은 다른 사람과 공적기구에 대한 신뢰지수가 아주 낮다. ‘타인을 믿을 수 있느냐’는 질문을 바탕으로 산출하는 신뢰도가 26%로, 회원국 평균치(36%)보다 10%나 낮다. 행복 선진국들은 타인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75%에 이르는 덴마크를 비롯해 노르웨이, 네덜란드, 스웨덴 등 신뢰도 상위권의 나라들은 공통적으로 삶의 질, 즉 행복지수도 높은 행복 선진국들이다. 사회적 신뢰와 국민행복은 밀접한 비례관계에 있다.

   

신뢰지수가 낮은 사회는 갈등이 활화산처럼 터진다. 갈등이 있는 곳에 불행이 자란다. 우선 정부에 대한 국민 신뢰도 순위에서 한국은 바닥권이다. 갤럽 조사를 통해 준비된 OECD 신뢰도 보고서는 한국 정부 신뢰도가 조사 대상 35개국 중 29위로 최하위권이라고 밝힌다. 같은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청소년층(15~25살)의 정부 신뢰도는 완전 최하위다. 사회와 정부를 믿지 못하니 미래가 불안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한국 청년 응답자들은 79.7%가 ‘미래에 대한 심각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느냐’고 대답했다.

   

노르웨이와 덴마크 등 북유럽 행복 선진국 거리에서 자물쇠를 채우지 않은 자전거가 흔하다고 한다. 아기를 태운 유모차를 바깥에 두고 카페에서 마음 편하게 커피를 마시며 대화하는 엄마들도 흔히 만난다. 집에서 간식을 챙겨간 어린이집 아이들은 먹을 때는 함께 나눠 먹는다. 사회와 이웃에 대한 높은 신뢰도 때문이다. 행복 선진국은 신뢰 선진국이다. 

   

최근 한국 대통령 출마자들의 행보가 뉴스거리다. ‘누가 좋은 대통령이냐?’고 질문을 받을 때마다 주저 없이 ‘신뢰도 높은 대통령이 좋은 대통령이다’라고 대답한다. 신뢰도 높은 사회가 행복한 사회다. 이를 위해 약속을 지키고, 반칙하지 않으며, 잘못을 겸허히 인정하고, 실수와 잘못을 수정하려는 태도를 가진 지도자가 필요하다. 행복한 나라를 세우기 위해 신뢰지수를 높이는 대통령이 되었으면 좋겠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