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됐던 싹쓸이 벌목, 탄소중립 계획에서 대폭 수정

논란됐던 싹쓸이 벌목, 탄소중립 계획에서 대폭 수정

박상현 기자
수령(樹齡) 30년 안팎 나무를 3억 그루 베어낸 자리에 30억 그루 묘목을 심겠다는 산림청의 벌목 계획이 대폭 수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싹쓸이식 벌목’으로 산림이 크게 훼손될 것이라는 우려가 일자 산림청이 한발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4KZOJTXXMBATHFVPKR4X2PRLGI.jpg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는 산림 가꾸기와 습지·바다숲 조성 등을 통해 2050년 2410만톤의 탄소를 흡수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가운데 산림 관리를 통한 탄소 흡수량은 2270만톤으로 제시됐다. 이는 산림청이 올 1월 발표한 탄소 흡수량 목표치(3400만톤)보다 35%가량 줄어든 것이다. 다만 벌채 규모를 얼마나 줄이는지 등 세부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당초 산림청은 3400만톤 탄소 절감 효과를 보기 위해 2050년까지 연간 조림 면적을 7000㏊(헥타르)씩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30년간 제주도 면적(1847㎢)을 웃도는 산림(약 2100㎢)을 베어내고 그 자리에 나무를 새로 심겠다는 것이다. ‘늙은 나무’는 탄소 흡수량이 적기 때문에 베어내고 대신 어린나무를 심어 흡수량을 늘리겠다는 논리다. 산림청은 이를 위해 연간 벌목 규모를 목재 수확량 기준 500만㎥에서 800만㎥로 확대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그러나 우거진 산림을 마구 베어내는 벌목이 산림과 생태계를 훼손시키는 데다, 오래된 나무의 탄소 흡수력이 어린나무보다 더 높다는 반론 등이 잇따라 제기됐다. 논란이 그치지 않자 결국 환경부는 지난달 21일 산림청 계획을 원점 재검토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 후 산림청 계획이 일부 수정돼 이번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그러나 벌목 가능한 나무의 수령을 낮춰 벌채 등을 통해 탄소를 흡수하겠다는 계획 자체는 철회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