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11일] 기술주 중심으로 조정, 전통 산업주는 상승
다우존스지수 1.18%↑
베테랑스데이인 11일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는 혼조로 마감했다.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 해제 기대감으로 가파르게 올랐던 증시는 특히 기술주 중심으로 조정을 거쳤다.
이날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559.33포인트(1.18%) 뛴 4만7927.96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14.18포인트(0.21%) 상승한 6846.61, 나스닥지수는 58.87포인트(0.25%) 내린 2만3468.30에 장을 마쳤다.
기술주를 매도하고 우량주를 매수하는 움직임이 뚜렷한 하루였다.
연방정부 셧다운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주 금요일 오후부터 전날까지 가파르게 올랐던 기술주가 크게 조정을 받았다. 특히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2.48% 급락하며 냉각된 투자심리를 보여줬다.
필리 지수의 급락에는 소프트뱅크가 엔비디아의 지분을 전량 매도했다는 소식도 영향을 미쳤다. 소프트뱅크그룹은 이날 3분기 실적 공시에서 엔비디아 주식 전량을 58억3000만달러에 매각했다고 밝혔다.
이는 AI 거품론과 함께 고점 인식을 부추겼다. 엔비디아를 비롯해 브로드컴과 TSMC, ASML은 1%대 하락률을 보였으나 AMD도 2.65% 하락했다.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27개가 하락했다. AI 테마주 매도세에 오라클도 1.94%, 팔란티어도 1.37% 하락했다.
기술주를 매도한 자금은 우량주로 유입되는 그림이었다. 특히 제약주가 강세였다. 제약주 가운데 시총이 가장 높은 일라이릴리는 2.27% 올랐고 암젠은 4.57% 뛰었다.
월마트와 비자, 코카콜라 등 경기 방어 성격의 전통 산업주도 강세였다.
기술주 매도세 속에 애플이 2.16% 뛴 것도 눈에 띈다. AI 인프라 지출에는 소극적이지만 탄탄한 현금 흐름과 사업 구조가 AI 거품론 속에 오히려 빛을 발하고 있다. 애플은 이날 강세로 시총 4조달러 선을 되찾았다.
업종별로는 기술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다. 의료건강은 2.33% 뛰었으며 에너지와 소재, 필수소비재, 부동산도 1% 이상 상승했다.
김문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