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에세이·추천서 통해 파악"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인터뷰·에세이·추천서 통해 파악"

웹마스터

대학들은 입학사정 과정에서 지원자의 성격을 파악하고 싶어한다. 뉴햄프셔주의 다트머스 칼리지 캠퍼스. /AP


입시에서 중요한 학생의 성격 

내성적인 성격이라면 에세이에 공 들여야

외향적인 성격인 경우 인터뷰가 중요


2025년 가을학기 입시결과 발표가 끝나면서 이제 11학년생들이 공을 손에 쥐게 됐다. 뛰어난 학업 성적, 높은 표준시험 점수, 독특한 과외활동 등 지원자가 여러가지 성취한 것들을 대학에  보여주는 것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대학은 통계에만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다. 입학 사정관들은 지원자가 대체 어떤 사람인지, 그리고 지원자의 성격이 대학 생활에 적합한지 알고 싶어한다. 다시 말해 지원자의 성격이 원서를 통해 드러나길 기대하는 것이다. 

김수현 교육 객원기자


◇대학은 성격 유형을 어떻게 평가할까 

아직 보편화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대학은 원서 안에 성격 테스트를 사용해 어떤 유형의 지원자를 상대하고 있는지 측정하기 시작했다. 

USA투데이에 따르면 ‘로즈-헐먼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러지(Rose-Hulman Institute of Technology)’ 같은 대학은 지원자들에게 간단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해서 성격 특성을 평가한다. 하지만 더 일반적인 것은 대학들이 원서의 특정 부분을 사용해서 지원자가 어떤 유형의 학생인지 파악하는 것이다. 대학이 지원자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하는 원서의 주요 부분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인터뷰 

입시 인터뷰는 일반적으로 대학 관계자가 1대1로 지원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지원자의 성격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는 기회다. 인터뷰를 실시하는 대학 동문은 인터뷰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해서 대학에 제출하게 된다. 이 보고서는 인터뷰한 학생의 원서에 첨부되며 대학의 최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에세이 

지원자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주는 또 다른 항목은 에세이다. 

글에는 그 글을 쓴 사람이 거울처럼 드러난다. 내용 뿐만 아니라 문체를 통해서도 나타난다. 지원자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경험을 했으며, 인생에서 무엇에 가장 가치를 두고 관심을 가지는지 에세이에서 읽힌다. 입학사정관들은 또한 지원자가 고유의 목소리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고 주장과 서사를 구성하는지 그 접근 방법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추천서 

추천서는 지원자를 잘 아는 주위의 인물이 지원자에 대해 말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이 지원자가 어떤 사람인지 판단할 때 도움이 된다. 교사 추천서의 경우 교사는 일반적으로 지원자가 어떤 유형의 학생인지 단서를 제공하는 성격 특성을 언급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추천하는 학생이 외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면, 교사는 학생이 거침없이 의견을 개진하면서 친구들을 독려하고 팀을 이끌었던 경험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대학은 심사에서 성격 유형을 고려할까 

성격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서 심각하게 성격에 대해 고민할 이유는 거의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학은 원서를 심사할 때 분명히 이를 고려할 것이다. 그 이유는 적응력이 뛰어나고 캠퍼스에서 잘 지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을 대학이 받아들이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대학이 특정 유형의 학생만 받아들인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대학은 선발한 다양한 학생들이 캠퍼스에서 문제없이 잘 어울리며 지낼 수 있을지 확인하고 싶어한다는 뜻이다. 


◇내성적인 경우와 외향적인 경우 

지원자가 내성적인 학생이라면 메인 에세이와 추가 에세이, 온라인 포트폴리오 등을 통해 자신의 성격을 더 많이 보여줄 수 있다. 원서의 이러한 부분에는 인터뷰처럼 1대1 상호 작용이 포함되지 않는 반면, 차분히 생각하고 글을 쓰는 형식이기 때문에 내성적인 지원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나갈 수 있다. 수줍음이 있든 없든 상관없이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통찰력 있는 에세이를 제출할 수 있다면 대학에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지원자가 외향적이라면 추천서와 인터뷰에서 빛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추천서는 주로 지원자가 고등학교 수업과 캠퍼스에 어떻게 기여해왔는지, 얼마나 사교적이고 사람들과 두루 잘 어울리는지, 대학이 지원자에게서 찾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등에 대해 다룰 것이다. 

또한 인터뷰에서는 지원자가 긴장하지 않고 인터뷰어와 훌륭한 대화를 나누면서, 타인과의 교류에서 강한 면모를 실제로 보여줄 수 있다. 


◇대학 지원 과정에서 개성을 보여주는 다른 방법들 

지원자에 따라 때로는 앞서 언급한 여러 요소들로는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대학에 보여주기에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개인 브랜드를 전달하기 위해 강력한 온라인 존재감을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개인 웹사이트나 팟캐스트를 창작해서 자신이 좋아하고 잘하는 것, 재능과 스킬, 업적 등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자신의 모든 소셜 미디어 계정을 하나의 공통된 개인 브랜드로 정렬시켜서 대학이 이 브랜드를 알아차리게 할 수 있다. 

창의적인 온라인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원서에 첨부하는 것도 좋다. 최고의 작품과 경험을 포트폴리오에 포함하라. 고등학교 때 쓴 최고의 에세이부터 비디오에 이르기까지 무엇이든 포함할 수 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