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점 적용받는 '웨이티드 GPA'로 결정, 높을수록 좋아"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가산점 적용받는 '웨이티드 GPA'로 결정, 높을수록 좋아"

웹마스터

UC 9개 캠퍼스 중 '탑 티어'에 속하는 UC버클리 캠퍼스 전경. /AP


입시에서 '학년 석차'의 중요성

성적·시험점수 '탑'이어도 합격 보장은 없어

대부분 탑 대학, 상위 10% 이내 학생들 뽑아


탑 대학에 합격하려면 어떤 요구 사항을 충족시켜야 할지 많은 고등학생들이 궁금해한다. 최고의 성적과 시험점수를 받아도, 아무리 화려한 과외활동을 해도 100% 합격이 보장되는 대학은 없다고 보는게 타당하다. 이 때문에 '학년 석차(class rank)'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학년 석차는 무엇이고, 왜 중요한지 알아본다.

김수현 교육 객원기자


◇학생은 다른 지원자와 비교된다 

기본적으로 대학 입학사정관들은 수많은 지원자 중 어떤 학생이 학교에 적합한지 결정하기 위해 다른 지원자들과 비교하는 작업을 한다. 이 때 비교하는 것이 GPA와 표준시험 점수 같은 학업적 능력, 원서의 내용과 완성도, 에세이와 추천서의 퀄러티, 인터뷰 내용 등이다. 

탑 대학들은 다양한 도구를 사용해서 가능한 가장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입시 결정을 내리려고 노력한다. 이 과정에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이 학년 석차이다. 

학년 석차는 똑같은 학업적 환경에서 교육받은 다른 학생들의 성적과 비교해서 매겨지는 것이기 때문에 대학이 특정 고등학교의 졸업반 학생들 가운데 지원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 된다. 

입시 경쟁이 치열한 대학들은 고등학교 때 같은 학년의 다른 학생들보다 훨씬 더 좋은 성적을 거둔 지원자를 합격시키려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런  최상위권 대학들은 고등학교 졸업 학년에서 상대적으로 석차가 높은 지원자를 찾는다. 

대부분의 탑 대학은 신입생 합격자 중 90% 이상이 해당 고등학교에서 상위 10% 이내 학년 석차에 속한다. 대부분 탑30 대학은 주로 상위 20%에 속한 학생들로 신입생을 구성하고 있다. 신입생 선발 기준이 그다지 높지 않은 대학에서는 합격생들이  고등학교에서 상위 10%, 20%의 석차 안에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이 숫자는 고정되어 있지 않지만, 지원자 입장에서 특정 대학에 합격할 가능성을 측정하려 할 때 유용할 수 있다. 


◇고등학교가 학년 석차를 매기지 않는다면 

일부 고등학교에는 학년 석차가 없다. 공식적으로 학년 석차를 매기지 않는 학교에 재학중인 경우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입학 사정관들은 특정 고등학교가 가진 학업 환경의 맥락 안에서 지원자의 위치를 능숙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것이 그들의 일이며 학년 석차가 없다고 해서 지원자가 불리한 입장에 놓일 일은 없다. 하지만 학년 석차를 무시해도 된다는 뜻은 아니다. 앞서 언급한 대로 대학은 고등학교가 공식적으로 학년 석차를 매기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지원자를 동급생과 비교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학년 석차가 대학 입시에서 갖는 의미 

학년 석차는 같은 학년에서 가장 높은 GPA를 보유한 학생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고등학교마다 GPA를 산정하는 방식이 다르다. 예를 들어 일부 학교는 GPA에 가중치를 적용해서 학생이 AP나 아너 클래스에서 A를 받을 경우 GPA계산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학년 석차는 웨이티드 GPA(Weighted GPA)로 결정된다. 

반면 일부 고등학교는 이런 가산점 정책을 시행하지 않는다. 대부분 고등학교는 GPA를 0-4.0의 척도로 계산하고 4.0은 올 A를 뜻한다. 재학 중인 고등학교가 어떤 방법으로 GPA를 산정하는지 에 대해 걱정할 필요는 없다. 대학 입학사정관들은 고등학교의 맥락 안에서 지원자를 살펴보며, 다른 학교 학생들과 비교할 때도 이 점을 염두에 둘 것이다. 만약 특정 고등학교가 성적 디플레이션이나 인플레이션으로 알려져 있거나 GPA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면, 입학 사정관들도 이 점을 알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학년 석차가 1등인 학생은 일반적으로 같은 학년에서 가장 높은 GPA를 받은 것이다. 

두 학생의 GPA가 소수점까지 정확하게 같다면 보통 동점으로 석차가 산정된다. 

동점이 발생하지 않는 유일한 경우는 학생들이 졸업생 수석 또는 차석 대표 자리를 놓고 경쟁할 때다. 이럴 때 고등학교는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4년 동안 AP 등 고급 수준의 수업들을 더 많이 수강한 학생에게 더 높은 순위를 인정한다. 

이 점을 감안하면 학년 석차가 높다는 것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학생이 AP나 IB, 아너 등 어려운 수업들을 많이 수강했고, 이들 수업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는 뜻이다. 

반면 학년 석차가 낮다면 학생이 고등학교에서 수강할 수 있는 어려운 수업들을 듣지 않고 비교적 쉬운 수준의 수업들을 들었거나, 수강한 수업에서 더 나은 성적을 받지 못했다는 것을 뜻한다. 


◇학년 석차가 낮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만약 학생의 학업 능력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특수 상황이 있다면 이 점을 대학에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의 사망이나 부모의 이혼 등이다. 

그러나 학생이 끝까지 도전적인 학업을 수행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학년이 오를수록 성적은 향상 트렌드를 보이는 것이 좋다. 



0 Comments